조금이라도 더 낮은 금리로 안전하게 돈을 빌리는 방법에 관해 소개하려 합니다. 특히 징검다리론에 대해 취급은행, 지원대상(등급), 필요한 서류는 어떻게 되며, 이용할수 있는 방법은 어떤지 상세히 소개하겠습니다.
정부정책 중에서 대출과 관련하여, 최대한 금리를 낮추어서 서민대상으로 도움을 주고자 다양한 상품들(햇살론, 징검다리론, 새희망홀씨 등)을 내놓고 있는데, 징검다리론이 그러한 역할을 하는 금융상품이 될것 같습니다.
시중은행으로 바로 방문해서 그냥 돈을 빌리려면 여간 어려운게 아닙니다.
그래서 "서민금융 정부정책"의 일환으로 낮은금리로 특정 조건만 맞다면 빌릴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저금리"에 맞게 찾아보시는게 좋습니다.
point!
1. 징검다리론 의미
2. 징검다리론 등급(지원대상)
3. 징검다리론 지원내용
4. 징검다리론 취급은행 및 지원방법
5. 징검다리론 예시(SC제일은행)
6. 징검다리론 서류
1. 징검다리론 의미
기존에 정부지원 저금리 서민상품정책으로 새희망홀씨, 햇살론, 미소금융, 바꿔드림론 같이 한번 이용을 한 경우, 또다시 신청이 불가할 경우, 징검다리론이 가능한 은행에서 돈을 융통할수 있는 제도 입니다.
2. 징검다리론 등급(지원대상)
처음 언급한, 새희망홀씨 같은 정부정책 4대 상품에 포함되는것들을 한번이라도 사용을 했어야 하며, 돈을 빌리고 이자까지 성실하게 납부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또다시 저금리로 빌려 주고 있습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아무문제 없이 2년이상 정상상환을 거치고, 신용등급에서는 5등급 이상의 기준에 부합해야 합니다.
그리고, 현재 연체사항이 없어야 하며, 4대정책상품중에서 하나라도, 75퍼센트 이상은 상환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3. 징검다리론 지원내용
금리는 연9%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런 제도 없이 신용도가 낮을때는 그냥 받을때는 10프로가 넘어간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상당히 저렴한 금리라고 볼수 있습니다.
대출한도는 최대 3천만원까지 가능하며, 특이한 점은 은행에 따라서 자율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이정도 금액선에서 결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4. 징검다리론 취급은행 및 지원방법
징검다리론 취급은행은 국민, 우리, 신한, 하나, SC, 씨티, 농협, 기업, 수협, 부산, 대구, 경남, 광주, 전북, 제주 이며 이 제도로 돈을 빌리기를 원하신다면, 서민상품을 취급하는 기관에 의뢰해서 "성실상환확인서"를 받아 은행에 제출하셔야 합니다.
5. 징검다리론 예시(SC제일은행)
많은 은행이 있지만 예시로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을 대상으로 살펴 보면, 해당 홈페이지가 있기 때문에 직접 들어가서, 확인해 보시는것도 좋습니다.
6. 징검다리론 서류
급여소득 및 자영업자에 따라 서류가 달라지지만 기본적인것은 똑같습니다.
- 소득금액증명
- 주민등록증 및 운전면허증
서로 다른 서류는 해당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sc 페이지) - 은행마다 조금씩 다를수 있음
https://www.standardchartered.co.kr/np/kr/pl/bw/LoanDetail.jsp?id=4089
https://www.standardchartered.co.kr/np/kr/pl/bw/LoanDetail.jsp?id=4089
인터넷뱅킹 자동 로그아웃 예정입니다. 남은시간 59초 인터넷뱅킹을 로그인 후 10분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자동 로그아웃됩니다. 로그아웃 로그인 연장하기
www.standardchartered.co.kr
원리금 균등상환 평균 이자
이렇게 얼마금액과 기간을 입력하고 결과값을 보실수가 있습니다.
징검다리론에 해당하는지 가장 먼저 자격이 되는지 살펴 봤다면, 이용을 하실수가 있는데, 내용에 있어서 난해한 부분이 있다면,
금융감독원, 포용금융실 서민중소기업지원팀으로 연락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위에 이용방법 사진 참조)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새마을금고 특판 금리 최대 8% 정기적금, 정기예금 (0) | 2021.08.13 |
---|---|
새마을금고 고객센터 전화번호 (대표 및 지점별) (0) | 2021.08.05 |
새마을금고 지점찾기 지점별 금리 쉽게 확인 하는법 (0) | 2021.07.26 |
금융기관코드 은행코드 번호 총정리 및 확인하는법 (0) | 2021.07.26 |
거치식 예탁금(예금 통장), 적립식 예탁금(적금 통장) 차이 (0) | 2021.07.22 |
댓글